본문 바로가기

의학

골다공증의 진단에 있어서 T-score 와 Z-score의 의미.

골다공증 환자의 DEXA 검사후 상담을 할 때,

"많이 심한 편인가요?"

하는 질문을 심심치 않게 받게 된다.

 

이 때 T-score와 Z-score의 수치가 나타내는 의미를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을 하게 되는데....

 

먼저,

T-score는 골다공증의 진단기준이 되는 지표로,

20~40대 사이 젊은 연령층의 평균 골밀도를 기준으로 하는 점수이다.

이 T-score에 비해서 나의 골밀도가 얼마나 저하되어 있느냐...를 가지고 골다공증을 진단한다는 말이다.

 

하지만, 이 T-score만 가지고는 환자들의 질문에 시원한 답변을 주기가 어려운 것 같다. ^^;

 

이 때 활용할만한 것이 Z-score가 아닌가 싶다.

T-score가 정상적인 성인을 기준으로 하는 점수라면,

Z-score는 같은 연령대의 사람들에 비해서 얼마나 골밀도가 감소되어 있는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이다.

 

예를 들어 Z-score가

(+)라면, 이론적으로 따졌을 때의 동일 연령대의 평균값보다는 높다는 말이 되겠고,

(-)라면, 이론적으로 따졌을 때의 동일 연령대의 평균값보다는 낮다는 말이 되겠다.

 

이렇게 Z-score를 알았으면

아래 있는 표들을 활용해서

대략 비슷한 연령대에서 골밀도가 상위 몇% 정도 되겠네요~ 하위 몇% 정도 되겠네요~

하고 이야기해 줄 수 있겠다.

 

 

 

 

표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D%91%9C%EC%A4%80_%EC%A0%90%EC%88%98 )

 

 

 

 

표 출처 ( http://www.pnskorea.co.kr/statistics/prosecutor.asp )





-------------20140826 덧붙임-------

골밀도 측정 및 임상적용에 관한 ISCD 공식 견해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백 기 현․강 무 일

Official Position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

http://synapse.koreamed.org/Synapse/Data/PDFData/1008JKSE/jkse-20-1.pdf

한번 덧 붙여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