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논문발췌요약

폐렴구균 백신 PPV와 PCV 대학의사협회지 2014년 9월호. 폐렴구균백신 Pneumococcal vaccine 송준영(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감염내과) 정희진(아시아태평양 인플루엔자연구소)의 내용을 참고하였습니다.http://www.jkma.org/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7-780.pdf ====================================================================== 오늘 공부해 본 주제는흔히들 폐렴주사, 폐렴접종, 폐렴예방접종, 폐렴백신 등으로 알려져 있는 바로 그 백신이다.먼저 정확한 명칭을 이야기 하자면, 폐렴구군 예방접종, 폐렴구균 예방백신이다.사람이 폐렴에 감염됐다고 해서 다 같은 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게 아닌데, 이 백신.. 더보기
경구혈당 강하제 DPP4-inhibitors 관련 논문 읽기 내가 느끼는 시골 보건지소 환경에서 당뇨환자의 특징이 몇 가지 있다. 모집단의 수가 적어서 일반화 시킬 수는 없겠지만 여튼 내가 느끼는바를 짧게 적어본다. - 식사는 비교적 규칙적이고, 아침식후 2시간 혈당도 꽤 신뢰할만 하다. - 망막검사, 소변검사, 혈중 HbA1c 등 정기적으로 권고되는 당뇨합병증 검사를 잘 하지 않는다.(몸이 불편하거나 교통이 좋지 않은 게 가장 큰 이유들이다) - 혈당 자가측정 및 기록이 어렵기 때문에, 한두달에 한 번 보건지소에 오셔서 측정하는 것이 사실상 객관적인 환자 정보의 전부이다. 3제 요법까지 시도하게 되는 환자의 경우가 몇몇 케이스 있는데, 대부분 교통편이 좋지 않아 타의료기관에 다닐 수 없는 경우가 많고 종종 저혈당 의심증상을 보인 과거력이 있는 분들도 있다. 가격.. 더보기
새로운 고혈압 가이드라인 및 약물요법(Medication for hypertension) in 2014 2013년 12월 JNC8(Eighth joint national committee)를 비롯하여 비슷한 시점에 새로운 고혈압 조절 및 약물 요법에 대한 다양한 가이드라인들이 나오게 되었고, 우리나라도 2004년 대한고혈압학회의 고혈압 가이드라인 초발 발행이후 2013년에 개정안이 발표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나도 정보 업데이트를 위해 올해 초에 JNC8을 읽어보긴 했는데, 내 스스로 제대로 정리된 느낌은 아니라서 몇가지 논문을 통해서 한번 정리해 보려 한다. ======================== 참고자료 1. 항고혈압 약물의 병합투여(Antihypertensive drug combinations), 박정배(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내과), JKMA 2014 March: 57(3): 253-25.. 더보기
치매의 (임상적) 정의,원인,위험인자,치료 참고자료 1 .한국형 치매임상진료지침 소개(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ementia by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Dementia of South Korea), 구본대 외, J Korean Med Assoc 2011 August; 54(8): 861-875http://synapse.koreamed.org/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4-861.pdf 2. 치매의 행동•정신 증상 진단 및 관리(Diagnosis and Treatment for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오병훈(연세의대 정신과), J Korean Med Assoc 2009; 52(1.. 더보기
무좀약 성분 경구용 케토코나졸(Ketoconazole) 판매 금지 처분. 2013년 9월 11일엔가... 식약청에서 무좀약의 치료제에 들어가는 경구용 케토코나졸(ketoconazole) 성분이 포함된 약들은 판매금지 시켰댄다. 이유는 간손상의 위험 때문이라고... 사실, 무좀약의 간손상 위험성은 원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던 터라 처방 전에 간수치를 확인 후에 처방하는 게 보통이라고 하던데, 아마도 생각보다 위험성이 더 있다고 판단했나보다. 몇 달 만에 무좀환자를 진료하게 되서 처방하다가 케토코나졸(ketoconazole)이었는지 플루코나졸(fluconazole)이었는지 헷갈려서 다른성분으로 처방한 뒤에, 지난 기사들을 찾아서 읽어보고 짧게 포스팅 해본다. 대략 이 약품들이 판매금지 처분이 되었다고 하는데, 삼푸 등 외용약품은 판매금지 처분 대상이 아니라고 한다. 관련기사들은.. 더보기
불면증의 약물치료 / 불면증에 대해서 / 불면증 시골 보건소에 불면증으로 오시는 분들이 얼마나 있을까 싶지만,밤에 잠드는 게 힘들다는 노인들이 의외로 많다. 보통 1차 의료기관 외래에서 '불면증 환자'들에 대해서 약물치료라 함은 일반적으로경구로 투여하는 졸피뎀(Zolpidem)제제와 벤조다이아제핀(벤조디아제핀, Benzodiazepine, BDZ)을 의미하는데, 사실 보건소에 오시는 노인들은 졸피뎀만으로도 효과가 있는 분들이 대부분이다. 졸피뎀을 처방받아가는 환자수가 많진 않긴 하지만, 여튼 거의 100% 졸피뎀 기본복용 용량(5~10mg)만으로도 효과가 있다고 환자 본인이 이야기 한다. 가장 쉽고 효과 좋은 처방인 졸피뎀 만으로도 효과를 보는 사람들이 많긴 하지만, 그 외에 다른 기절적 질환에 의한 불면증에 대해서도 알아두는 게 좋을 것 같아서 이번.. 더보기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알부민뇨 평가 지침 (2007) 대부분의 환자들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으로 약을 처방 받아가는 시골 보건소. 큰 병원도 아니고 당뇨가 심해봐야 얼마나 심할까 싶은 분들 중에서 바쁘다는 거 붙잡고 어렵게 어렵게 설득해서 소변검사를 하고 나면 종종 미세단백뇨(microalbuminuria) 양성으로 나오는 분들이 있다. 물론 대부분 정상이시거나 일시적인 변화로 추정되는 분들이 다수이지만, 미세알부민뇨가 양성으로 나오거나 Dipstick 검사에서 1+, 2+가 나오는 분들이 있어서 좀 더 정밀검사가 가능한 병원에서 제대로 검사하고 전문의 선생님들 이야기를 들어보시라고 해서 따뜻할 때는 농삿일 바쁘시다고, 추울 때는 춥다고 병원 안 가시는 분들이 대부분이라서 걱정될 때가 많다. 시골 보건소 수준의 1차 의료기관에서 당뇨에 대한 medica.. 더보기
비결핵성 항산균 폐질환, 비결핵성 항산성균 폐질환(NTM, nontuberculous mycobacteria)의 역학,진단,치료 그냥 결핵도 아니고 NTM이라니....?! 시골 보건소에서 그리 흔하지도 않은 질환을 왜 공부했을까...싶지만, 1년 5개월 사이에 NTM 환자를 두명째 보게 되고 대학병원으로 의뢰하면서 한번 공부해 봤다. 참고자료들에 상세하고 더 전문적인 내용들도 많았지만, 1차 의료기관 에서도 시골 보건소 세팅에 맞춰서 필요한 내용들만 공부 해봤다. 참고자료로는 아래와 같다. 1)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 연구원 감염병센터 결핵호흡기세균과, 국내 비결핵 항산균 감염증 현황(Current status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infection), 주간 건강과질병, 2009년 제2권 제25호, pp. 389~393. 2) 고원중(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비결핵성 항산균 폐질환의 진단과 치료.. 더보기
구글에서 의학논문 찾기. 본인이 GP ㄱㅂㅇ라서 시골의 일차의료 현장에 있다보니 관심영역이 그리 넓지 않고 전문지식을 검색해 내는 스킬이 썩 좋지는 못하지만, 혹시나, 나 같은 눈높이에서 의학논문들을 찾아서 읽어보려고 하는 분들이 있지 않을까 해서 포스팅 해본다. =========================================================================================== 예전 포스팅에서 설명한 대한의학회지(JKMA)를 웹상에서 찾아서 읽는 방법을 소개 했는데, 이번엔 검색엔진에서 의외로 쉽게 논문등 참고 자료를 찾아보는 방법을 소개해보려 한다. 병원에서 일을 하면 아이디로 접속해서 논문을 이것저것 찾아 읽어 볼 수 있다고 하는데, 병원 밖에 있으면 한편에 몇천원씩 하는 페이.. 더보기
인터넷으로 대한의사협회지(JKMA) 논문 읽기 *이미지의 출처는 JKMA에서 가져왔습니다. 다른 분과 학회지와는 다르게대한의사협회지는(JKMA)는 웹상에 공개 게시되어 있다.따로 로그인 하지 않아도 얼마든지 읽어볼 수 있다는 것! 나름 대한민국 의사 커뮤니티에서 name value가 있는 공증된 학회지이고,컨텐츠도 다양하고 좋다고들 한다. 일차의료에 대한 최근동향이라든가...사회, 경제, 윤리, 법과 연관된 의학계 이슈들에 대한 글들도 많다.최근 수련의, 전공의 노동에 대한 이야기들도 있다. 나같이 시간많은 ㄱㅂㅇ들도 한번씩 찾아서 읽어볼만한 논문들이 많은 것 같다.게다가 읽기쉽게 한글이다ㅎㅎ 자! 이제 논문 찾기 시작해 보자. 대한의사협회 홈페이지에 접속하면http://www.kma.org/index/index.php 우측에 JKMA대한의사협회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