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논문발췌요약

치매의 (임상적) 정의,원인,위험인자,치료

참고자료


1 .한국형 치매임상진료지침 소개(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ementia by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Dementia of South Korea), 구본대 외, J Korean Med Assoc 2011 August; 54(8): 861-875

http://synapse.koreamed.org/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4-861.pdf


2. 치매의 행동•정신 증상 진단 및 관리(Diagnosis and Treatment for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오병훈(연세의대 정신과), J Korean Med Assoc 2009; 52(11): 1048 - 1054

http://synapse.koreamed.org/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2-1048.pdf




=========================================================


1. 치매의 정의

  치매는 후천적 뇌질환에 의한 다발성 인지장애가 일상생활의 장애를 일으키는 상태로, 70여 가지에 이르는 원인질환들에 의해 유발되는 복합적인 임상증후군이다.

**치매는 몇가지 특별한 임상적 증상이나 검사결과를 콕 찝어서 "당신은 치매 환자로 진단되었습니다."하고 진단하는 것이 아니고,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 생활능력을 비롯하여, 호소하는 임상적인 증상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판단하는 것이다.

  즉, 약 처방, 보험처리 등을 위해서 편의상 '질병(disease)'으로 분류하긴 하지만, 실제적으로는 콕 찝어서 질병이 아니라, 종합적인 상태를 두고 말하는 것이다.



2. 치매의 원인

  치매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은 너무나 다양한데,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환은 알츠하이어 병(AD, Alzheimer's disease)인데, AD는 여러 원인에 의해서 뇌세포가 점진적으로 파괴되어 기억력 등을 비롯한 정신활동이 점차 퇴행되는 질환으로 비가역적(irreversible)이고 퇴행성(degenerative) 진행을 보인다.

  두번째로 흔한 원인 질환은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로 뇌경색(stroke) 등의 원인에 의해서 뇌혈관의 일부가 막혀서 해당부위의 뇌기능이 갑자기(suddenly) 저하되는 질환이며, 혈관성 치매는 가역적(reversible)이고, 계단식 진행(stepped-progression)을 보인다.

  위의 두가지 질환이 치매의 원인 질환중 80% 가까이를 차지하며, 그 외에 루이체 치매(Lewy body dementia), 전두엽치매, 알코올성 치매 등이 있다.



3. 치매의 위험인자와 보호인자

  1) 치매의 위험인자

    (1)조절할 수 없는 위험인자

        - 나이 : 65세부터 연령이 5년씩 증가함에 따라 치매 유병률이 2배 가량 증가.

        - 성별 : 여성이 남성보다 유병률이 높다.

        - 유전적 요소 : 다운증후군, amyloid precusor protein(APP), presenilin 1(PS1), presenilin 2(PS2) 등.

    (2)조절 가능한 위험인자

        - 알코올 섭취 : 알코올 섭취와 치매 발병의 상관관계 그래프는 J형 곡선을 그린다.

        - 흡연 : 심혈관, 뇌혈관 질환의 위험인자.

        - 비만 : 중년에서의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증가는 치매의 위험 인자이다.

        - 고혈압 : AD, 혈관성 치매의 위험인자.

        - 고 콜레스테롤 혈증

        - 두부손상 :외상으로 인해 치매가 생길 수 있다.

        - 우울증 : 노인에서의 치매와 우울증은 감별해야할 질환이긴 하지만, 치매 전조증상이나 초기 증상으로 우울증이 있을 수 있다.

        - 갑상선 등 대사질환

        - 매독

        - 비타민 B12 및 엽산 결핍.

  2) 치매의 보호인자

    (1) 운동

    (2) 교육과 지적 자극

    (3) 항산화제

    (4) 기타 등등

 


3. 치매의 진단

  1) 알츠하이머병의 진단기준

       DSM- IV의 알츠하이머형 치매(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기준과

       NINCDS-ADRDA(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and Communicative Disorders and Stroke and the Alzheimer’s isease and Related Disorders Association)기준이 널리 사용된다.

   2) 혈관성 치매의 진단기준

       DSM-IV, ICD-10, NINDS -AIREN(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Association Internationale pour la Recherche et I’Enseignement en Neurosciences), Modified Hachinski Ischaemic

Score 등의 진단기준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진단 기준들은 서로 호환해서 사용할 수 없고, 민감도가 낮다.

    3) 기타 임상 검사

        치매 증상을 검사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신경생리학적 검사, 영상의학적 검사, 인지행동능력 검사 등을 시행하지만, 의사들마다 병원마다 적용하는 검사의 tool이 매우 다양하므로 일일히 나열하지는 않겠다.




4. 치매의 치료

  치료에 대해서는 현재 나의 상황상 접근도가 너무 떨어지는 분야이고, 현재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인 것으로 알고 있으므로 따로 요약하지는 않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