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나와라 로봇팔! , ASXC, 에이센서스 서지컬, asensus surgical 원래는 TRXC, transhenterix, 트랜스헨테릭스 였는데, 올해 4월인가에 사명이 바뀌었다. 수술용 로봇팔을 만드는 회사. ISRG, 다빈치로봇 만드는 인튜이티브서지컬에 비하면 뭐하나 내세울게 없어보이는 회사이긴한데, 역시 차트도, 캔들도, 재무표도 전혀모르던 때에 뭐에 홀린듯이 사서 현재 -40프로를 찍고 있는 아주 자랑스러운 타산지석,반면교사 주식이다. 7,8개월간 주식을 보유하면서 가장 아쉬웠던 순간은 시장 분위기가 푹 꺼질때 외과수술들에 대한 FDA 승인을 받아서 묻혀버린것... 따흑....ㅜㅜ 과거의 형편없던 경영진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사명을 변경한 심정은 이해가 가지만, 회사 이름이 아직도 입에 착착 감기지가 않아서 좀 섭섭...허다. 그리고 기계이름도 Senhance, 센헨스 라니.. 더보기
T2 biosystems(TTOO, 티투바이오시스템즈)는 패혈증 진단과 치료의 game changer가 될 수 있을 것인가. 주식의 주. 재무제표의 재자도 모르던 내가 코로나 이후 주식사장의 광기에 탑승하여 개미투자자가 되었고, TTOO 또한 회사를 제대로 알지 못 한 상황에서 투자를 시작하였다가 결론 적으로 7,8개월이 지난 지금 -60%라는 어마어마한 수익을? 내고있다. 손절할까 싶다가도 주식투자를 이딴식으로 하면 절대로 안된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상기시키고자 일종의 비석처럼 새겨두고자 그냥 냅두고 있다. 심지어 지금 한주에 0.8-0.9달러를 왔다갔다 하고 있어서, 한주당 950-1100원 하는 셈이라 일주일에 1,2주 정도씩 모아보고 있다. 약간의 패혈증 치료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푼돈을 조금씩 더 기부?하는 셈치고 투자를 하고 있다. Sepsis campaign에서 3 hour bundle에.. 더보기
폐렴구균 백신 PPV와 PCV 대학의사협회지 2014년 9월호. 폐렴구균백신 Pneumococcal vaccine 송준영(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감염내과) 정희진(아시아태평양 인플루엔자연구소)의 내용을 참고하였습니다.http://www.jkma.org/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7-780.pdf ====================================================================== 오늘 공부해 본 주제는흔히들 폐렴주사, 폐렴접종, 폐렴예방접종, 폐렴백신 등으로 알려져 있는 바로 그 백신이다.먼저 정확한 명칭을 이야기 하자면, 폐렴구군 예방접종, 폐렴구균 예방백신이다.사람이 폐렴에 감염됐다고 해서 다 같은 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게 아닌데, 이 백신.. 더보기
Whooping cough(백일해) 동영상(성인,소아) (캡쳐사진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AIVt3e5EVtc) 아... 캡쳐만 보아도 이 느낌 알겠다... 싶다. 먼저 글을 쓰기 전에 whooping cough를 네이버와 구글에서 검색해 보았다. 둘 다 백일해(pertussis)라고 검색이 되고 실제로 백일해라는 질병을 가리킬 때 whooping cough라는 용어를 쓴다. 발작적이고 지속적인 기침이 지속적으로(거의 100일간) 간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백일해. 이 질병의 영어 이름 자체가 질병의 특징을 꼬집어서 설명하는 꼴이다. 나 역시 어렸을 적에 수 시간 동안 미친듯이(!) 토할듯이(!!) 기침을 내뱉는 호흡기 질환에 걸렸던 기억이 있다. Whooping cough에서 cough에 주목해 보면 whooping.. 더보기
Chvostek's Sign of Hypocalcemia, 저칼슘혈증의 징후 1 부갑상선 조직이 포함된 갑상선 절제술(thyroidectomy) 혹은 부갑상선 절제술(parathyroidectomy) 후에 발생하는 저칼슘혈증에서 관찰할 수 있는 징후 중에 하나가 Chvosteck's Sign(쉬보스텍 사인)이다. 더보기
흔히 쓰이는 의료 [소견서 / 진단서 / 진료의뢰서] 약어/약자 1.00ver 종종 소견서/진단서/진료의뢰서를 발급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외부에서 검사하고 오신 검사결과, 소견서 등을 보고 설명해 드리는 일도 있다. 모든 약어들을 모든 의사들이 공통적으로 쓰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된 약어를 보면 대략 어떤 의미와 맥락에서 이 용어를 쓴 건지 가늠해 볼 수 있다. 일반인들도 전보다 소견서/진단서/진료의뢰서를 접하는 기회가 많아졌지만, 여전히 어려운 이야기들이 많다. 아무리 의사와 환자가 각자 노력을 해도, 전문지식에 대한 정보와 지식의 비대칭은 존재할 것이다. 그러나 최소한 환자에게 들려보내는 진단서/소견서/진료의뢰서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는 설명을 해줄 필요가 있지 않을까? 환자와 보호자도 상태에 대해 알 권리가 있음은 두말할 것도 없다. 이번엔 그런 내용들을 열거하는 식으로.. 더보기
인문학의 부재. 8년 여 전, 대학교 신입생 때이다. 의예과 1,2년 동안 선택교양 수업을 십수학점을 이수했어야 했는데, 그 중에 한가지로 사회대학에서 심리학 수업을 들었더랬다. 몇 번 수업을 듣다보니 의예과 학생들 외에 다른 학생들은 대부분 문과출신 학생들로 보였고, 그들의 입장에서는 수업 때 등장하는 신경,뉴런,전두엽,측두엽,후두염,신경전달물질,호르몬 등의 용어들이 낯설었는지 교수님 수업 한마디 한마디를 고스란히 메모하기에 바빠 보였고, 또 새로운 용어가 나오면 요즘말로 '멘붕'에 빠진 표정이 역렸했다. 그것은 아마도 내가 고등학교 때 이공계열에 속해 있었고, 역사/사회/정치 등에 대한 정규수업을 제대로 이수하지도 않고 하루가 바쁘게 이공계열 과목 진도 빼기와 심화 수업에 열을 올리고 수능이라는 피니쉬 라인을 향해 .. 더보기
경구혈당 강하제 DPP4-inhibitors 관련 논문 읽기 내가 느끼는 시골 보건지소 환경에서 당뇨환자의 특징이 몇 가지 있다. 모집단의 수가 적어서 일반화 시킬 수는 없겠지만 여튼 내가 느끼는바를 짧게 적어본다. - 식사는 비교적 규칙적이고, 아침식후 2시간 혈당도 꽤 신뢰할만 하다. - 망막검사, 소변검사, 혈중 HbA1c 등 정기적으로 권고되는 당뇨합병증 검사를 잘 하지 않는다.(몸이 불편하거나 교통이 좋지 않은 게 가장 큰 이유들이다) - 혈당 자가측정 및 기록이 어렵기 때문에, 한두달에 한 번 보건지소에 오셔서 측정하는 것이 사실상 객관적인 환자 정보의 전부이다. 3제 요법까지 시도하게 되는 환자의 경우가 몇몇 케이스 있는데, 대부분 교통편이 좋지 않아 타의료기관에 다닐 수 없는 경우가 많고 종종 저혈당 의심증상을 보인 과거력이 있는 분들도 있다. 가격.. 더보기
새로운 고혈압 가이드라인 및 약물요법(Medication for hypertension) in 2014 2013년 12월 JNC8(Eighth joint national committee)를 비롯하여 비슷한 시점에 새로운 고혈압 조절 및 약물 요법에 대한 다양한 가이드라인들이 나오게 되었고, 우리나라도 2004년 대한고혈압학회의 고혈압 가이드라인 초발 발행이후 2013년에 개정안이 발표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나도 정보 업데이트를 위해 올해 초에 JNC8을 읽어보긴 했는데, 내 스스로 제대로 정리된 느낌은 아니라서 몇가지 논문을 통해서 한번 정리해 보려 한다. ======================== 참고자료 1. 항고혈압 약물의 병합투여(Antihypertensive drug combinations), 박정배(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내과), JKMA 2014 March: 57(3): 253-25.. 더보기
치매의 (임상적) 정의,원인,위험인자,치료 참고자료 1 .한국형 치매임상진료지침 소개(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ementia by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Dementia of South Korea), 구본대 외, J Korean Med Assoc 2011 August; 54(8): 861-875http://synapse.koreamed.org/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4-861.pdf 2. 치매의 행동•정신 증상 진단 및 관리(Diagnosis and Treatment for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오병훈(연세의대 정신과), J Korean Med Assoc 2009; 52(1.. 더보기
성인에서 파상풍 예방접종(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우선권장 대상 1) 생후 12개월 미만 신생아 및 영아 등의 백일해 고위험군을 진료하는 의료인 2) 보육시설 종사자 3) 신생아가 있는 가족 내 성인 4) 가임기 여성 5) 상처를 통해 감염 예방이 필요한 성인(상처의 청결도에 따라서) 접종방법과 접종 시기 1) 40세 이상에서 DTaP접종력이 없으면 0,1,6개월 간격으로 Td 3회접종(이 중에 1회는 Tdap접종) 2) DTaP 기초 접종력이 확인 된 성인은 최종 접종일로부터 10년 이상경과 하였으면 Tdap 혹은 Td 1회 접종. 참고자료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Guidelines of Vaccination for Adult), 2012, 질병관리본부 더보기
성인 B형 간염(HBV) 예방접종에 대하여. 성인에서의 B형 간염 예방접종. 1. 일반 권장 대상 : 과거 감염력 또는 예방접종력이 없는 모든 성인. 2. 우선 권장 대상 1)연령별 : 없음. 2)질환별 : 만성간질활자, 혈액투석환자, HIV감염자, 혈액제제를 자주 투여받는 환자. 3. 직업 및 상황별 우선 투여대상(HBsAg, anti-HBs 모두 음성이면서, HBV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사람) 1) 의료기관 종사자 2) 수용시설의 수용자와 근무자 3) 단체생활하는 지체장애인과 직원 4) HBV보유자의 가족 5) 주사용 약물 중독자 6) 성매개 질환 노출위험이 큰 집다. ※ 백신 무반응자에 대한 재접종. 1. 접종대상 : 3회 기초접종 후에도 (표면)항체가 음성인 고위험군 2. 추가접종 일정 : 3차기초 접종후에 항체 음성이면 추가 1회(4차) .. 더보기
JNC8 guideline ( for Hypertension in Adults ) 2014 고혈압 치료지침. JNC8이 나왔다. 성인에서 고혈압 관리지침의 goal(목표) 등 바뀐 부분들이 있는 것 같다. 읽어보고 정리해봐야겠다. 2014 Evidence-Based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 Report From the Panel Members Appointed to the Eighth Joint National Committee (JNC 8) 링크는 아래와 같다. http://jama.jamanetwork.com/article.aspx?articleid=1791497 더보기
Vibrio Choleaae(V. Cholerae) 감염증의 치료. Treatment of Vibrio Cholerae infection. 참고자료 : http://www.cdc.gov/cholera/treatment/antibiotic-treatment.html ========================================================== 본인도 회, 생굴을 먹고 비브리오 콜레라에 감염된 적이 몇번 있는데, 마침 임상 증상으로 보았을 때, V. Cholerae가 의심되는 환자가 찾아온고로, V. Cholerae 감염의 치료에 대해 자료를 찾아서 읽어보았다. V. Cholerae 감염의 비특이적 증상은 일단 잦은 설사 등으로 대표되는 일반적인 장염증상, 미열 등의 감기 증상과 비슷하나. 특이적 증상으로 몇가지가 있다. 기억할 만한 것은, 힘을 .. 더보기
골다공증의 진단에 있어서 T-score 와 Z-score의 의미. 골다공증 환자의 DEXA 검사후 상담을 할 때, "많이 심한 편인가요?" 하는 질문을 심심치 않게 받게 된다. 이 때 T-score와 Z-score의 수치가 나타내는 의미를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을 하게 되는데.... 먼저, T-score는 골다공증의 진단기준이 되는 지표로, 20~40대 사이 젊은 연령층의 평균 골밀도를 기준으로 하는 점수이다. 이 T-score에 비해서 나의 골밀도가 얼마나 저하되어 있느냐...를 가지고 골다공증을 진단한다는 말이다. 하지만, 이 T-score만 가지고는 환자들의 질문에 시원한 답변을 주기가 어려운 것 같다. ^^; 이 때 활용할만한 것이 Z-score가 아닌가 싶다. T-score가 정상적인 성인을 기준으로 하는 점수라면, Z-score는 같은 연령대의 사람들에 비.. 더보기
ICD-10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국제질병분류) http://www.who.int/classifications/icd/en/ WHO의 내부 사이트인데, ICD의 공식 좌표라고 할 수 있겠다. 아래 있는 좌표는 위의 WHO페이지에 링크되어 있는 좌표인데, Tree형식으로 되어 있다. 검색 기능도 있어서 찾기 쉽니다.http://apps.who.int/classifications/icd10/browse/2010/en 더보기
요추, 대퇴골에서의 골다공증의 진단 1)요추 L1~L4 까지의 평균치(L1-L4)를 기준으로 진단. 정상에서는 L1 --> L4로 갈 수록 골밀도가 증가함. 위와 같은 경향이 역전되거나, T-score가 주위 요추와 1.0이상 차이를 나타내면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는 등 판정에 적합하지 않은 부위일 가능성이 높다. 압박골절, 퇴행성 변화가 있는 부위는 배제한 후 진단한다. 2)대퇴골 대퇴골 전체(total)와 경부(Neck) 두 곳의 골밀도 중 낮은 부위를 택하여 진단한다. Referrence) 2013 대한신경과학회 제32차 학술대회 강의록 - 골다공증의 진단과 치료, 김미경(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해운대백병원 내분비대사내과) http://www.js-silver.kr/page/geriatricdiseases/image/2023.pdf 더보기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의 병용금지 약제들. 최근 무좀약 치료제 성분으로 많이 쓰이는 케토코나졸(ketoconazole) 처방금지에 이어서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의 병용금지 약제들에 대한 기사들도 있어서 한번 정리해 본다.사실 병용금지 약제들에 대한 포스팅이라기보다는이트라코나졸 단일 경구제제에 대한 전반적인 식약청 허가사항의 변경에 대한 이야기라고 보면 되겠다.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둘 다 흔히들 무좀약이라고들 하는 항진균제로(anti-fungus)경구 혹은 외용약으로 심심치 않게 처방하게 되는데,시골 의료기관의 세팅에서는 노인, 고혈압, 고지혈증 약을 복용중인 분들이 많아서더 주의를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항진균제인 이트라코나졸 단일(경구)제제에 대한 식약청의 허가사항 변경에 대한 게시물 원문은아래 식약청 홈페이지 링크에서.. 더보기
무좀약 성분 경구용 케토코나졸(Ketoconazole) 판매 금지 처분. 2013년 9월 11일엔가... 식약청에서 무좀약의 치료제에 들어가는 경구용 케토코나졸(ketoconazole) 성분이 포함된 약들은 판매금지 시켰댄다. 이유는 간손상의 위험 때문이라고... 사실, 무좀약의 간손상 위험성은 원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던 터라 처방 전에 간수치를 확인 후에 처방하는 게 보통이라고 하던데, 아마도 생각보다 위험성이 더 있다고 판단했나보다. 몇 달 만에 무좀환자를 진료하게 되서 처방하다가 케토코나졸(ketoconazole)이었는지 플루코나졸(fluconazole)이었는지 헷갈려서 다른성분으로 처방한 뒤에, 지난 기사들을 찾아서 읽어보고 짧게 포스팅 해본다. 대략 이 약품들이 판매금지 처분이 되었다고 하는데, 삼푸 등 외용약품은 판매금지 처분 대상이 아니라고 한다. 관련기사들은.. 더보기
불면증의 약물치료 / 불면증에 대해서 / 불면증 시골 보건소에 불면증으로 오시는 분들이 얼마나 있을까 싶지만,밤에 잠드는 게 힘들다는 노인들이 의외로 많다. 보통 1차 의료기관 외래에서 '불면증 환자'들에 대해서 약물치료라 함은 일반적으로경구로 투여하는 졸피뎀(Zolpidem)제제와 벤조다이아제핀(벤조디아제핀, Benzodiazepine, BDZ)을 의미하는데, 사실 보건소에 오시는 노인들은 졸피뎀만으로도 효과가 있는 분들이 대부분이다. 졸피뎀을 처방받아가는 환자수가 많진 않긴 하지만, 여튼 거의 100% 졸피뎀 기본복용 용량(5~10mg)만으로도 효과가 있다고 환자 본인이 이야기 한다. 가장 쉽고 효과 좋은 처방인 졸피뎀 만으로도 효과를 보는 사람들이 많긴 하지만, 그 외에 다른 기절적 질환에 의한 불면증에 대해서도 알아두는 게 좋을 것 같아서 이번.. 더보기
의료법 시행규칙 전문 링크. 의료법 전문이 국가법령정보 센터(http://www.law.go.kr)에 게시되어 있다.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원하는 법명을 검색하면전문 혹은 부분을 지정해서 HWP, PDF, DOC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 의료법 시행규칙 [시행 2013.4.17] [보건복지부령 제193호, 2013.4.17, 타법개정] 보건복지부(보건의료정책과) 02-2023-7292 제1조(목적) 이 규칙은 「의료법」 및 「의료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1조의2(환자의 권리 등의 게시) ① 「의료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4조제3항 전단에서 "「보건의료기본법」 제6조·제12조 및 제13조에 따른 환.. 더보기
의료법 전문 링크. 의료법 전문이 국가법령정보 센터(http://www.law.go.kr)에 게시되어 있다.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원하는 법명을 검색하면 전문 혹은 부분을 지정해서 HWP, PDF, DOC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 의료법 [시행 2013.8.13] [법률 제12069호, 2013.8.13, 일부개정] 보건복지부(보건의료정책과) 02-2023-7292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모든 국민이 수준 높은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국민의료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제2조(의료인) ①이 법에서 "의료인"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은 의사ㆍ치과의사ㆍ한의사ㆍ조산사 및 간호사를.. 더보기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알부민뇨 평가 지침 (2007) 대부분의 환자들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으로 약을 처방 받아가는 시골 보건소. 큰 병원도 아니고 당뇨가 심해봐야 얼마나 심할까 싶은 분들 중에서 바쁘다는 거 붙잡고 어렵게 어렵게 설득해서 소변검사를 하고 나면 종종 미세단백뇨(microalbuminuria) 양성으로 나오는 분들이 있다. 물론 대부분 정상이시거나 일시적인 변화로 추정되는 분들이 다수이지만, 미세알부민뇨가 양성으로 나오거나 Dipstick 검사에서 1+, 2+가 나오는 분들이 있어서 좀 더 정밀검사가 가능한 병원에서 제대로 검사하고 전문의 선생님들 이야기를 들어보시라고 해서 따뜻할 때는 농삿일 바쁘시다고, 추울 때는 춥다고 병원 안 가시는 분들이 대부분이라서 걱정될 때가 많다. 시골 보건소 수준의 1차 의료기관에서 당뇨에 대한 medica.. 더보기
비결핵성 항산균 폐질환, 비결핵성 항산성균 폐질환(NTM, nontuberculous mycobacteria)의 역학,진단,치료 그냥 결핵도 아니고 NTM이라니....?! 시골 보건소에서 그리 흔하지도 않은 질환을 왜 공부했을까...싶지만, 1년 5개월 사이에 NTM 환자를 두명째 보게 되고 대학병원으로 의뢰하면서 한번 공부해 봤다. 참고자료들에 상세하고 더 전문적인 내용들도 많았지만, 1차 의료기관 에서도 시골 보건소 세팅에 맞춰서 필요한 내용들만 공부 해봤다. 참고자료로는 아래와 같다. 1)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 연구원 감염병센터 결핵호흡기세균과, 국내 비결핵 항산균 감염증 현황(Current status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infection), 주간 건강과질병, 2009년 제2권 제25호, pp. 389~393. 2) 고원중(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비결핵성 항산균 폐질환의 진단과 치료.. 더보기
구글에서 의학논문 찾기. 본인이 GP ㄱㅂㅇ라서 시골의 일차의료 현장에 있다보니 관심영역이 그리 넓지 않고 전문지식을 검색해 내는 스킬이 썩 좋지는 못하지만, 혹시나, 나 같은 눈높이에서 의학논문들을 찾아서 읽어보려고 하는 분들이 있지 않을까 해서 포스팅 해본다. =========================================================================================== 예전 포스팅에서 설명한 대한의학회지(JKMA)를 웹상에서 찾아서 읽는 방법을 소개 했는데, 이번엔 검색엔진에서 의외로 쉽게 논문등 참고 자료를 찾아보는 방법을 소개해보려 한다. 병원에서 일을 하면 아이디로 접속해서 논문을 이것저것 찾아 읽어 볼 수 있다고 하는데, 병원 밖에 있으면 한편에 몇천원씩 하는 페이.. 더보기
인터넷으로 대한의사협회지(JKMA) 논문 읽기 *이미지의 출처는 JKMA에서 가져왔습니다. 다른 분과 학회지와는 다르게대한의사협회지는(JKMA)는 웹상에 공개 게시되어 있다.따로 로그인 하지 않아도 얼마든지 읽어볼 수 있다는 것! 나름 대한민국 의사 커뮤니티에서 name value가 있는 공증된 학회지이고,컨텐츠도 다양하고 좋다고들 한다. 일차의료에 대한 최근동향이라든가...사회, 경제, 윤리, 법과 연관된 의학계 이슈들에 대한 글들도 많다.최근 수련의, 전공의 노동에 대한 이야기들도 있다. 나같이 시간많은 ㄱㅂㅇ들도 한번씩 찾아서 읽어볼만한 논문들이 많은 것 같다.게다가 읽기쉽게 한글이다ㅎㅎ 자! 이제 논문 찾기 시작해 보자. 대한의사협회 홈페이지에 접속하면http://www.kma.org/index/index.php 우측에 JKMA대한의사협회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