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논문발췌요약

새로운 고혈압 가이드라인 및 약물요법(Medication for hypertension) in 2014

2013년 12월 JNC8(Eighth joint national committee)를 비롯하여 비슷한 시점에 새로운 고혈압 조절 및 약물 요법에 대한 다양한 가이드라인들이 나오게 되었고, 우리나라도 2004년 대한고혈압학회의 고혈압 가이드라인 초발 발행이후 2013년에 개정안이 발표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나도 정보 업데이트를 위해 올해 초에 JNC8을 읽어보긴 했는데,
내 스스로 제대로 정리된 느낌은 아니라서 몇가지 논문을 통해서 한번 정리해 보려 한다.

========================

참고자료

1.
항고혈압 약물의 병합투여(Antihypertensive drug combinations), 박정배(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내과), JKMA 2014 March: 57(3): 253-258.


2.

순환기 분야에서 최근 개정된 새로운 가이드라인(Introduction of Recent Hypertension Guidelines), 이해영(서울 의과대학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대한내과학회지: 제87권 제2호 2014

http://synapse.koreamed.org/Synapse/Data/PDFData/0007KJM/kjm-87-127.pdf


3.

2013년 쏟아진 고혈압 가이드라인, 어떻게 볼 것인가? : 2014년 의협신문 학술이슈 따라잡기

   2014.03.03 의협신문

   http://m.doctorsnews.co.kr/articleView.html?idxno=94585&sc_navigation_code=M1N4&sc_navigation_code2=


4.

2013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진료지침 가이드를 주제로한 좌담회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900



==========================



1. 최근 개정된 고혈압 가이드라인들.

  - 2013년 6월 유럽고혈압학회 고혈압 가이드라인

  - 2013년 11월 미국심장학회 고혈압 가이드라인

  - 2013년 12월 미국고혈압합동위원회 8차 개정안(JNC8)

  - 2013년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가이드라인 개정안



2. 고혈압의 분류(대한고혈압 학회가 제안)



과거에는 SBP(수축기 고혈압) 120-139mmHg, DBP(이완기 혈압) 80-89mmHg를 Prehypertension(고혈압 전단계)라고 하였으나,

환자가 고혈압에 대대 불필한 정도의 우려를 한다는 점,

약제 남용의 위험성이 있다는 점,

SBP130-139mmHg/DBP80-89mmHg의 혈압군이 향후 고혈압으로 진행항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

들을 감안하여

SBP140이상이고 DBP90미만인 수축기 단독 고혈압(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을 포함하여


고혈압을

정상(Normal BP)

전고혈압 1단계 (Pre-hypertension Stage 1)

전고혈압 2단계 (Pre-hypertension Stage 2)

고혈압 1단계 (Hypertension Stage 1)

고혈압 2단계 (Hypertension Stage 2)

수축기 단독 고혈압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이렇게 총 6단계로 분류하였다.



3. 일반적인 고혈압 치료의 목표

  SBP 140mmHg 이하 and DBP 90mmHg이하.



4. 노인에서 단독 수축기 고혈압의 치료 목표(Target blood pressure for treatment of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in the elderly)

   치료목표를 SBP140mmHg 미만으로 할 때와 SBP150mmHg미만으로 할 때의 예후에 대한 차이가 없다는 보고가 있어서 최소한 DBP60mmHg 이상을 유지하는 한 SBP140-150mmHg를 유지하도록 한다.



5. 만성 콩팥병(CKD, Chronic Kidney Disease)을 동바한 고혈압 환자에서의 고혈압의 치료 목표

   - SBP140mmHg 미만으로 유지되고 있을 시에, SBP를 그 보다 더 낮추어도 별다른 이득이 없다는 점 등을 들어서 SBP140mmHg 미만으로 권고.

   - 유럽과 우리나라 가이드라인은 연구방법의 차이가 있어서 SBP130mmHg미만이냐 SBP140mmHg미만이냐를 두고는 확실하게 나누기는 어렵다고 함.



7. 약물요법의 기본 원칙.

  - 기본적으로 [A]ACEi, ARB, [B]beta-blocker, [C]CCB, [D]diuretics 이렇게 4가지가 있음.

  - 고혈압 환자의 2/3은 처음 시도한 약물 요법(initial therapy)으로는 제대로 혈압조절이 안 된다고 함.

  - 처음 시도한 용량을 계속 증가시키는 것보다 저용량으로 2,3가지 약물을 병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혈압강하효과가 좋다고 함.(Combination therapy)

  - 하지만 지금까지의 중론은 (환자에게 큰 해가 되지 않는 한) 병합한 약제의 종류에 대한 것 보다 달정한 혈압강하 효과 자체가 중요하다고 함.



8. 병합요법에 대한 우려 및 권고사항.

  - 같은 계통의 항고혈압제(예를 들면, [A]카테고리의 ARB와 ACEi) 두 약을 같이 복용하면 혈압강하효과는 크고 단백뇨 감소효과도 크지만, 저혈압 위험이 커서 ESRD(말기 콩팥부전증),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CVD) 예방효과가 더 좋아지지는 않으므로 권하지 않는다. 

  - [B]+[D] 조합도 가능한 조합이긴 하나, 다른 병합요법들보다 당뇨병 등의 대사적 장애를 더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이 있음. 즉, 당뇨병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에서는 지양해야하겠다.

  - [B]의 경우 교감 신경 항진이 주 병태생리가 아닌  많은 노인에서 혈압 강하 효과가 적고, 혈압 강하효과가 24시간 지속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새벽에 발생하는 뇌졸중에 대한 방어 효과가 다른 약제들보다 떨어진다는 우려가 있음.